법보신문 | 실재하지만 낯선 선물 같은 풍경
본문
세찬 파도가 몰아치다가 물이 빠지면 드러나는 바닥. 거기에 서식하는 생명체들을 볼 수 있다. 물이 밀려들어 온다. 물때를 잘 만나 파도가 잠잠해지는 시기에 찾아간 바닷가에는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요한 물속 장면을 볼 수 있다.
![]() |
||
▲ ‘푸른 꿈’, 한지에 수묵담채, 103×145cm, 2018년. |
동해와 남해, 그리고 서해 바닷가의 어느 곳에 정박한 시선은 광활한 바다의 처연한 수평선이나 광막해서 숭고한 공간에 홀리지 않는다. 바닷물이 해안에 와 멈추는 지점, 그리고 다시 밀려나고 남은 빈자리와 그로 인해 드러난 바닥과 그곳에 사는 다양한 생명체들이 서로 공존하는 모습에 주목했다.
화면에 전면적으로 깔린 이 풍경은 원근이 형성되지 않고 모든 존재를 평등하게 바라보게 한다. 깨끗하고 맑은 바닷물 속 다양한 형태의 바위와 그 바위에 달라붙은 따개비, 조개, 미역, 군소 등 온갖 바닷가의 자그마한 생명체들이 아주 작게 자리하고 있다. 유심히, 섬세하게 바라보지 않으면 잘 잡히지 않는 풍경이다. 사실 기존에 재현됐던 바다 풍경에선 소외되거나 배제됐던 것들이다.
![]() |
||
▲ ‘이웃사촌(군소와 꽃게)’, 한지에 수묵담채, 101×147cm, 2017년. |
박영택 경기대 교수는 분명 실재하지만 낯선 선물 같은 풍경이라고 했다.
“우리는 익숙하고 관습적인 시선에서는 결코 보지 못했거나 미처 알지 못했던 것을 선물처럼 받아보게 된다. 늘 보았던 것들이고 흔한 풍경이지만 다시 주의 깊게 보면 새삼스레 이런 장면을 간직하고 있었음을 문득 뒤늦게 깨닫게 되는 것이다. 물속의 아름답고 신비스러운, 그러면서도 더없이 소박하고 건강한 생명체를 발견한 작가의 시선과 마음이 빚은 맑고 깨끗한 풍경이다.”
김현태 기자 meopit@beopbo.com
[1430호 / 2018년 3월 7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