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 | 부처님이 가르쳤던 양치질의 다섯가지 이익
본문
우리는 아침 저녁으로 양치질을 한다. 하지만, 가장 일상적인 일인 양치질의 기원이 불교에서 왔다는 것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양치질을 흔히 양치(養齒)로 표기하는 사전도 있지만 사실은 양지(楊枝)가 맞다. 버드나무 가지라는 뜻의 양지를 이용해 이를 닦았다는 양지질에서 나중에 양치(養齒)질로 변형됐다고 보는 것이다. 이쑤시개를 가리키는 일본말인 요지는 양지(楊枝)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말이다.그렇다면 왜 이를 닦는 것을 양지(楊枝)라고 했을까?양지(楊枝)란 이를 닦는 나무, 즉 버드나무의 가지를 가리키는 말이다.사분율 53권에는 양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