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한국불교계 양성평등 이끈 비구니 묘엄 스님 불교박람회서 만난다 > 2016년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세계일보] 한국불교계 양성평등 이끈 비구니 묘엄 스님 불교박람회서 만난다 > 2016년 언론보도


[세계일보] 한국불교계 양성평등 이끈 비구니 묘엄 스님 불교박람회서 만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6-03-15 21:48 조회421회 댓글0건

본문

현대 한국불교 최초의 비구니 율사’ 묘엄 스님(1932~2011)을 회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대한불교조계종과 불교박람회 홍보사무국은 ‘2016서울국제불교박람회’ 기간(3월 24~27일) 묘엄 스님의 일생을 다룬 ‘우리스님전’이 열린다고 4일 밝혔다.

묘엄 스님은 파란만장했던 근현대를 살아내며 비구니로서는 드물게 율사의 지위를 얻은 인물이다. 이로 인해 여성 수행자의 인식 개선을 이끌어낸 한국불교계의 큰 별이었다.

스님은 근현대 한국불교의 지표였던 청담 스님의 둘째 자제로 태어났다. 대를 이어야 한다는 집안의 요구를 거절하지 못한 청담 스님은 독신청정의 계율을 져버린 대가로 이후 혹독하고 치열한 참회정진을 이어가며 수행자의 본분을 찾고자 노력했다고 전해진다.​

묘엄 스님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일본의 식민통치와 해방, 한국전쟁 같은 현대사의 격동기를 온몸으로 맞으며 수행자의 길을 걸었다. 묘엄 스님의 일대기와 한국 비구니 승단의 변화를 다룬 ‘한계를 넘어서’(동국대학교출판부, 2012)에 따르면, 묘엄 스님은 1940년대 초중반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종군위안부 징집을 피해 당시 청담 스님이 주석하던 대승사로 보내졌다. 이후 성철 스님의 조언과 독려 속에 윤필암에서 출가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출가 후 열정 넘치던 묘엄 스님은 봉암사 결사의 구성원이 되어 한국불교 개혁의 횃불을 높이 들기도 했다. 당시 들불처럼 일어난 변화의 바람은 묘엄 스님의 길에 크나큰 영향을 끼쳤다. 남성과 여성의 차별이 존재하던 승단 내 분위기가 변화하며 비구 스승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고, 공식적인 최초의 비구니 교육자로 한국불교사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묘엄 스님은 비구니 교육자로서 한국 비구니 승단이 우뚝 서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스님은 조계종 5대 비구니 승가대학인 봉녕사승가대학을 설립해 후학을 양성하고, 비구니들의 단합과 여성 수행자의 위상을 제고시켰다. 남성 중심의 한국 승가공동체에서 비구니 승가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것은 특히 주목해야 할 행보다. 한국불교 내에 양성 평등이 실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장본인인 셈이다.

또한 한국불교사 최초의 비구니 율원을 설립해 비구니들에게 율장을 제대로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한국 비구니 법맥의 정통성을 확립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이다.

불교박람회 ‘우리스님전’은 묘엄 스님의 지난 업적과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와 유품 등이 대거 전시될 예정이다. 수원 봉녕사 측은 전시회를 위해 묘엄 스님과 관련된 유품과 사진 자료들을 전격 공개할 예정이다. 전시회에서는 또 세주묘엄박물관 내 전시물은 물론, 달라이라마가 선물한 불상, 묘엄 스님이 사용하던 안경과 다구, 생전 메모, 발우 등 20여 점이 전시된다. 이와 함께 묘엄 스님의 일대기에 대한 3D 애니메이션도 제작, 공개돼 많은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계종 주최로 오는 24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막이 오르는 ‘2016 서울국제불교박람회’는 300여 개 업체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행사장에는 450여 개의 부스가 설치된다. 전시프로그램은 산업전(특별전), 국제교류전, 기획전, 붓다아트페스티벌(BAF)로 나뉜다. 제4회를 맞는 BAF에는 100여명의 작가들이 참가한다. 

정성수 문화전문기자 tol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6-12-23 10:12:05 언론보도에서 이동 됨]


2019 서울국제불교박람회
(03150)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81 두산위브파빌리온 914호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사무국
tel 02)2231-2013 fax 02)2231-2016 fax bexpo@daum.net
Copyright (c) BEXPO. All Rights Reserved.
인터라넷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