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템플스테이·음식·건축양식… “한국 불교의 모든 것 보러오세요” > 2014년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세계일보] 템플스테이·음식·건축양식… “한국 불교의 모든 것 보러오세요” > 2014년 언론보도


[세계일보] 템플스테이·음식·건축양식… “한국 불교의 모든 것 보러오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6-03-07 06:57 조회591회 댓글0건

본문

3월 6∼10일 불교박람회 개최

한국 불교 전통문화 산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불교 조계종은 내달 6∼10일 서울 지하철 3호선 학여울역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2014 불교박람회’를 연다. 세텍 3개관 가운데 1개 관이 불교박람회장으로 꾸며진다. 한국 불교 문화의 진수인 건축, 조각, 조경, 석재, 천연 염색, 디자인 등을 한자리에서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한국불교의 미래를 위해 종단 차원에서 심혈을 기울인 행사여서 주목된다.

한국에서 불교박람회가 처음 열린 것은 2006년. 개인 업자가 주축이 돼 시작했는데, 수요가 늘지 않자 6년 만에 접고 말았다. 그만큼 불교박람회의 운영이 어렵다는 뜻이다. 그런데 한 해 뒤인 2013년 불교신문과 불광출판사가 불교박람회를 재개해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수익은 내지 못했지만, 탄탄한 기획력으로 관람객 5만3000명을 끌어 모으는 데 성공한 것이다. 박람회를 참관했던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이 한국 불교박람회의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종단 차원에서 힘을 몰아주기에 이른 것이다. 

조계종은 우수한 불교문화상품 개발로 콘텐츠만큼은 만족감을 극대화하겠다는 각오다. 나아가 불교문화를 산업화해 수출은 물론, 관광특수까지 창출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박람회 규모를 신청 업체 230곳, 부스 350개로 늘려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확장시켰다. 

20140225003841_0_59_20140225223802.jpg?t원본보기
불교문화산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4 불교박람회’가 3월 6∼10일 서울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열린다. 사진은 2013 불교박람회 개막식 전경.
전시 프로그램은 크게 특별전, 무대 프로그램 등으로 나뉜다. 특별전에서는 ‘제2회 붓다 아트페어’가 열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불교작품과 만난다. 인기 웹툰작가 주호민과 동료 작가들이 참가해 ‘불교만화 특별전’을 펼친다. 봄맞이 선물로 구매력이 높은 20만원대의 조각, 그림, 공예품 등 60∼70점을 특별 제작해 선보인다. 템플스테이 홍보관에서는 아늑한 산사의 느낌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게 했고, 스님과의 차담, 불교용품 만들기 참여와 함께 템플스테이 사진전도 감상한다. 사찰음식 홍보관에서는 각종 사찰음식이 푸짐하게 전시되고, 사찰음식 경연대회가 열린다. 시식만으로도 배를 채울 수 있다는 것이 주최 측의 귀띔이다. 불교문화상품관에서는 불교문화상품공모전 수상작이 전시되며, 템플스테이 로고, 연화문채색 키트를 활용한 체험행사도 마련된다. 

이 밖에 차 문화대전, 불교출판협회전, 국제불교전, 문화체험전, 불교산업전, 전통산업전, 문화상품전, 우리스님전 등이 박람회장 곳곳에서 펼쳐져 발길을 붙잡는다. 이를 통해 다기와 차 전시, 고품격의 다도 시연도 감상하며, 천연염색, 계량한복 등의 아름다움도 즐길 수 있다. 한국 고승들의 지혜가 담긴 어록과 행장도 접할 수 있다. 

20140225003842_0_59_20140225223802.jpg?t원본보기
2013 불교박람회에서 외국인 관람객들이 팔만대장경 탁본을 감상하고 있다.
무대 프로그램으로는 7일 오후 1시와 2시 불사(佛事) 특별강의가 열린다. 도편수 등이 나와 한옥시공 등 불사 전반에 대해 강의한다. 8일 오후 3시에는 연희단, 합창단의 연등행렬과 무대공연이 펼쳐지고, 이에 앞서 오전 11시에는 불교와 토크가 만나는 북콘서트가 열린다. 매일 이뤄지는 ‘힐링 스테이지’에서는 혜자 스님, 월호 스님, 상계넨빠 린포체 등이 나와 지혜와 명상에 대해 강의하고 즉문즉답도 진행한다. ‘마음공부’에 대해 한 수 배우고 싶은 현대인에게 유익한 시간을 제공할 전망이다. 주최 측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성철 스님의 특별전도 준비하고, 외국인을 위한 코너도 있다고 한다. 박람회장을 찾는 시민들에게 반드시 기쁨과 만족감을 주겠다는 의지다. 외국인 1만명을 포함해 총 6만5000명의 관람객을 모으는 것이 목표다.

이 같은 고품격의 콘텐츠와 스타마케팅으로 불교박람회 사상 역대 최대 규모로 치른다. 부산 홍법사는 매월 진행하는 108산사 순례에 불교박람회를 코스로 집어 넣었고, 국내 한 여행사는 발빠르게 중국 여행객 상대로 관광상품을 만들어 모집을 끝낸 상태다. 조계종 기획실장 일감 스님은 “불교박람회를 템플스테이, 연등회와 함께 한국불교의 3대 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성수 종교전문기자 tols@segye.com 



2019 서울국제불교박람회
(03150)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81 두산위브파빌리온 914호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사무국
tel 02)2231-2013 fax 02)2231-2016 fax bexpo@daum.net
Copyright (c) BEXPO. All Rights Reserved.
인터라넷 바로가기